Post List

[네트워크 프로그래밍] 열혈 TCP/IP 11장 정리(프로세스간 통신)

[네트워크 프로그래밍] 열혈 TCP/IP 11장 정리(프로세스간 통신)


11장에서는 10장에서 생성한 프로세스'들' 간 데이터를 통신하는 구조를 배웁니다.
이는 영어 약자로 IPC 라고 불리며, 그냥, 프로세스간 통신 입니다.

IPC의 대표적인 기술로 pipe가 사용됩니다.
pipe()는 매개변수로 int 2개의 배열로 구성되며, array[0]은 출력, array[1]은 입력을 맡게 됩니다.

즉, 자식이 부모에게 무언가 전달한다.(write)한다고 하면, array[1]에 그 내용을 담으면 되고, 부모가 무언가 수신한다(read)면, array[0] 을 읽으면 됩니다.

프로세스는 전혀 다른 메모리 영역을 사용한다고 하였는데, 이처럼 운영체제의 도움을 받아 pipe를 연결하면 두 프로세스간 통신을 할 수 있습니다.

[참고] 윤성우의 열혈 TCP/IP 소켓 프로그래밍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