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제 링크 : 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6597
이 문제는 이전의 문제(트리의 순회)와 완전히 동일한 문제이다.
하지만 차이점이 있다면, 이전의 트리의 순회 문제는 포스트오더와 인오더를 주고 프리오더를 구하는 것이었고 이 문제는 프리오더와 인오더를 주면 포스트오더를 출력하는 문제라는 것 이다.
알고리즘은 이렇다.
반복{
1. preorder의 맨 앞 원소를 root로 삼는다.
2. inorder에서 root를 찾고, 그 인덱스를 저장한다.
3. 2에서 찾은 인덱스를 기준으로 트리를 좌/우로 나눈다.
}
나는 3번에서 헤멨었다.
find는 단지 '개수'가 아니고, inorder에서 찾은 인덱스 값이라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.
즉, 재귀함수에서 매개변수로 find를 줄 때 s1을 빼 주어야 한다. 왜? s2 + 갯수 여야 하니까.
소스코드 :
이 문제는 이전의 문제(트리의 순회)와 완전히 동일한 문제이다.
하지만 차이점이 있다면, 이전의 트리의 순회 문제는 포스트오더와 인오더를 주고 프리오더를 구하는 것이었고 이 문제는 프리오더와 인오더를 주면 포스트오더를 출력하는 문제라는 것 이다.
알고리즘은 이렇다.
반복{
1. preorder의 맨 앞 원소를 root로 삼는다.
2. inorder에서 root를 찾고, 그 인덱스를 저장한다.
3. 2에서 찾은 인덱스를 기준으로 트리를 좌/우로 나눈다.
}
나는 3번에서 헤멨었다.
find는 단지 '개수'가 아니고, inorder에서 찾은 인덱스 값이라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.
즉, 재귀함수에서 매개변수로 find를 줄 때 s1을 빼 주어야 한다. 왜? s2 + 갯수 여야 하니까.
소스코드 :
| 
1 
2 
3 
4 
5 
6 
7 
8 
9 
10 
11 
12 
13 
14 
15 
16 
17 
18 
19 
20 
21 
22 
23 
24 
25 
26 
27 
28 
29 
30 
31 
32 
33 
34 
35 
36 
37 
38 
39 
40 
41 
42 
43 
44 
45 
46 
47 
48 
49 
50 
51 
52 
53 
54 | 
#include <iostream> 
#include <vector> 
#include <string> 
using namespace std; 
string pre, in; 
// s1,e1 : inorder , s2, e2 : preorder 
void PostOrder(int s1, int e1, int s2, int e2) { 
    if (e1 < 0) { 
        return; 
    } 
    if (e1 < s1 || e2 <s2) { 
        return; 
    } 
    // need error control(oor) 
    int find = s1; 
    for (int i = s1; i <= e1; i++) { 
        if (pre[s2] == in[i]) { 
            find = i; 
            break; 
        } 
    } 
    // find - s1을 해 주어야 함(인덱스를 매개변수로 넘기는게 아닌, 갯수를 넘김) 
    PostOrder(s1, find - 1, s2 + 1, s2 + (find - s1)); 
    PostOrder(find + 1, e1, s2 + (find - s1) + 1, e2); 
    cout << pre[s2]; 
} 
int main() { 
    cin.tie(0); 
    ios_base::sync_with_stdio(false); 
    string input; 
    while(getline(cin, input) && input != "") { 
        pre.clear(); 
        in.clear(); 
        int f = input.find(' '); 
        pre = input.substr(0, f); 
        in = input.substr(f + 1, input.length() - f - 1); 
        PostOrder(0, in.length()-1 , 0, pre.length()-1); 
        cout << endl; 
    } 
} | cs | 
댓글
댓글 쓰기